상식/전설의 소문들9 나비효과의 유래와 뜻(진짜 의미) Butterfly effect 나비효과 뜻 (Butterfly effect) 나비 효과는 나비의 작은 날갯짓처럼 작은 미세한 차이로 인한 사소한 사건이 추후에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나비효과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영화로도 나올정도로 자주 언급되는 것 중 하나인 나비효과는 브라질 나비의 날개짓이 대기에 영향을 주면 시간이 지나서 미국에서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소한 행위가 발단이 되어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를 뜻합니다. 나비효과 유래 미국의 기상학가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가 1961년 기상관측을 하다가 흥미로운 계산 결과로 인해 재확인을 위해 재계산했습니다. 먼저 계산과는 완전 다.. 2022. 9. 28. 악마의 상징 염소 ◆목차 > 개요 > 영화 및 기타 작품들 > 염소는 왜 악마의 상징인가? 개요우리는 악마를 묘사하는 그림이나 어떤 형상을 볼때 염소의 모습이 있는것을 많이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또한 영화나 게임에서도 염소를 악마의 상징으로표현하는 작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영화 및 기타 작품들 1. 곡성 영화 내 장면속에 커다란 염소 머리뼈를 모신 제단이 있습니다. 2. 더 위치 염소에게 말을 건 아이들에게 마녀라고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3. 리니지 마녀들이 숭배했다는 염소의 모습을 지닌 악마입니다.머리와 다리가 염소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바포메트라는 단어는 악마 전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4. 크람푸스 크람푸스 또한 크리스마스에 찾아와서나쁜 아이들을 벌주는 악마입니다. 반은 염소, 반은 악마로 묘사됩니다. 5. .. 2020. 10. 13.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목차 > 개요 > 까치는 원래 어떤 성질을 지녔나 > 어디서 유래된것일까? 개요우리에게 까치의 이미지는 굉장히 포장이 잘 되어있습니다. 겉모습이 화려한것도 한 몫을 하지만 어렸을때 학교에서배운 이미지가 머리속에 각인이 된것이 큽니다. 사실 까치가 사람에게 이로운 행동을 한것을 살면서 본적은 없네요. 우리나라에서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행동까지 하기때문에까치는 유해조류로 지정되어있습니다. 까치는 원래 어떤 성질을 지녔나 1. 까치의 기능 까치는 영아 6살 정도의 지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사람의 얼굴이 구분 가능하고, 학습이 가능해모방도 가능할 정도로 지능이 높은 새입니다. 100~200여개의 문장 정도의 새의 말을 할수 있다고 합니다. 2. 까치의 행동 및 공격성 여름철에는 단독으로 생활을 하며,.. 2020. 10. 11. 밤에 휘파람 불면 뱀, 귀신이 소환된다는 이야기 ◆목차 > 개요 >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 마무리 개요 밤에 휘파람을 불거나 악기 연주를 하면 뱀, 귀신이 나온다고 하는 괴담이다.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1. 뱀을 부리는 방법이 휘파람을 부는것이었기때문에 이런 속신이 생겼다고 합니다. 2. 지금은 없지만 옛날에는 통행금지가 있었습니다. 옛날에는 농경사회를 주로 이뤘기때문에 일찍자고 일찍 일어나야 했습니다. 따라서 밤에 휘파람을 불고 하면 여러사람에게 피해를 주기때문에 이런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겼다고 합니다. 3. 옛날에는 동자신들을 부를때 휘파람을 불르는 경우가 많았다고합니다. 그래서 휘파람을 불면 귀신이 나타난다는 속설이 생겼습니다. 4. 옛날에는 외간 남자가 남의 집 여자를 꼬실때 하는 행동이었습니다. 따라서 미혼의 딸이 바람이 난다면 .. 2020. 9. 29. 문지방은 왜 밟지 말라고 하는것일까? ◆목차 > 개요 >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 마무리 개요우리는 어렸을적에 문지방을 밟지 말라는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문지방을 밟으면 복달아난다. 혹은 귀신이 나온다.라고 많이들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의 집들은 문지방을 없는 상태로 건축되는 경우가 많아져서 이런말을 듣느것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1. 과거 문지방이 닳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옛날 한옥들은 나무재질로 많이 지었습니다. 따라서 문지방또한 나무재질이었기때문에 계속 밟게되면 닳게 되면서 갈라지게 됩니다.이렇게되면 겨울철에 난방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2. 사람들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문지방들은 보통 3~5cm 사이로 높은편에 속했습니다.따라서 사람들이 움직일때나 아이들이 장난치면서 돌아다닐때 다칠 위험이 있기때문에이러한것.. 2020. 9. 29. 다리를 떨면 복이 날아간다 ◆목차 > 개요 >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 장, 단점 개요 누구나 다리를 떨어 혼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보통 다리를 떨고 싶어서 떤다기보다 무의식적으로 혹은 어떤일에 집중할때 자기도 모르게 다리를 떠는경우가 많습니다. 어디서 유래된 말일까? 다리를 떨면 복이 날아간다는 얘기는 설화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입니다. 과거에 한 관상쟁이가 가난한 집에서 묵게 되었는데, 부자 관상을 가진 집주인이 가난하게 사는 집주인의 이유를 알아보니 자면서 다리를 떠는것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관상쟁이는 쇠망치로 가난한 집주인의 다리를 쇠망치로 꺾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 가난했던 집주인은 모든 일이 잘 풀려 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장, 단점 단점은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습니다.다른사람들이 봤을때 정신사나워 보일.. 2020. 9.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