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0

EMS 뜻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 설계부터 조립까지 맡기는 전자 제조 서비스 EMS 뜻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 설계부터 조립까지 맡기는 전자 제조 서비스EMS는 단순한 생산 하청이 아닙니다. 기획, 설계, 조달, SMT, 조립, 테스트까지 포함된 토탈 전자 제조 서비스의 핵심 개념을 파악해보세요.안녕하세요. 오늘은 IT 기기, 의료기기, 산업용 전자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 핵심적인 제조 파트너십인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EMS는 단순한 생산 위탁이 아니라,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납품까지 전 과정에 걸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기술 집약적인 제품일수록 EMS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며,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적 선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목.. 2025. 5. 15.
CM 뜻 (Contract Manufacturer) - 내 브랜드로 남이 생산하는 ‘계약 제조’ 방식 총정리 CM 뜻 (Contract Manufacturer) - 내 브랜드로 남이 생산하는 ‘계약 제조’ 방식 총정리설계는 내가 하고, 생산은 전문가에게 맡긴다? 브랜드는 그대로지만 제조는 남이! 바로 이것이 CM의 핵심입니다.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 전반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CM(Contract Manufacturer, 계약 제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M은 브랜드사가 제품 설계를 주도하고, 제조 공정은 외주 전문 업체에 맡기는 구조로, 특히 전자기기·의료기기·기계부품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자체 공장 없이도 제품을 생산하고 싶은 기업에게 필수적인 방식입니다. 개념부터 장단점, 실제 활용 사례까지 정리해드립니다.목차CM이란? 계약 제조 개념 정리CM 구조의 핵심 구성요소CM 방식의 장점과 단점C.. 2025. 5. 14.
JDM (Joint Design Manufacturer) - 공동 설계·생산 방식, 제조 파트너십 총정리 JDM (Joint Design Manufacturer) - 공동 설계·생산 방식, 제조 파트너십 총정리OEM·ODM만 알고 계셨다면, JDM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단순 위탁을 넘어선 ‘공동 설계’ 기반의 전략적 제조 협업 모델을 소개합니다.안녕하세요. 오늘은 글로벌 IT·전자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JDM(Joint Design Manufacturer)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JDM은 단순 생산을 넘어서, 브랜드사와 제조사가 함께 설계와 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제조 방식입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이나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산업에서 JDM 구조는 제품 품질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JDM의 정의부터 구조, 장단점, 활용 사례까지 실무자 관점에서 명확하게 정.. 2025. 5. 13.
JDM vs ODM 차이 한눈에 정리|공동 설계냐, 완제품 설계냐? 제조 구조 총정리 JDM vs ODM 차이 한눈에 정리|공동 설계냐, 완제품 설계냐? 제조 구조 총정리ODM은 익숙하지만, JDM은 낯설다고요? 제조 위탁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협업 방식과 계약 전략이 완전히 달라집니다.안녕하세요. 오늘은 IT, 가전, 전장 등 다양한 제조 산업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핵심 제조방식, JDM과 ODM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두 방식은 모두 외부 제조사에게 생산을 맡긴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설계 주도권과 브랜드 통제력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의, 차이점, 실제 사례까지 실무 중심으로 명확히 비교해드립니다.목차JDM이란 무엇인가?ODM이란 무엇인가?JDM과 ODM의 핵심 차이점브랜드 관점에서 본 협업 통제력제조사 입장에서의 수익 모델 차이JDM과 ODM의 .. 2025. 5. 11.
CM과 OEM 차이 한눈에 정리|계약 제조 vs 위탁 생산 구조 대공개 CM과 OEM 차이 한눈에 정리|계약 제조 vs 위탁 생산 구조 대공개같은 외주 생산인데 왜 CM은 계약 제조, OEM은 위탁 생산일까요? 용어만 다르고 구조는 같은 걸까요? 오늘 명확하게 구분해드립니다.안녕하세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제조 외주 분야에서 자주 혼동되는 개념인 CM(Contract Manufacturing)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의 차이를 설명드립니다. 둘 다 생산을 외부에 맡기는 방식이지만, 계약 방식, 관리 범위, 설계 책임, 품질 통제 등에서 중요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외주 전략을 설계해보세요.목차CM이란? 개념 및 제조 범위OEM이란? 개념 및 구조 정리CM과 OEM의 핵심 차이 비교산업별 CM/OE.. 2025. 5. 10.
EMS vs OEM 차이 한눈에 정리|설계 포함 여부부터 생산 범위까지 구조 대공개 EMS vs OEM 차이 한눈에 정리|설계 포함 여부부터 생산 범위까지 구조 대공개EMS? OEM? 둘 다 외주 생산이지만 그 구조는 완전히 다릅니다. 설계 포함 여부와 생산 범위 차이, 지금 정확히 구분하세요.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제품이나 기술기반 제조 외주에서 자주 혼동되는 두 개념, EMS와 OEM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생산만 하는 것인지, 설계까지 포함하는 것인지에 따라 책임과 전략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EMS는 특히 전자·반도체 업계에서, OEM은 브랜드 제조 전반에서 많이 활용되며, 그 구조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목차EMS란? 개념 및 서비스 범위OEM이란? 구조 및 역할 정리EMS vs OEM 핵심 차이 비교EMS/OEM 선택 시 고려사항EMS와 OEM 적용 산업 ..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