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결혼식 축의금 관계별, 지역별로 완벽정리!

by 정보수집하는전문가 2025. 3. 9.

 

 

 

 

 

 

관계별 축의금 금액

 

관계축의금 최소 금액축의금 일반적 금액축의금 높은 금액

관계 최소 금액 일반적 금액 높은 금액
지인, 동호회, 같은 학원 출신 등 3만 원 5만 원 7~10만 원
직장 동료 (같은 팀/부서 아님) 5만 원 7~10만 원 10~15만 원
직장 동료 (같은 팀/부서) 7~10만 원 10~15만 원 20만 원 이상
직장 상사·부하 직원 7~10만 원 10~20만 원 30만 원 이상
학교 친구 5만 원 7~10만 원 15만 원 이상
절친한 친구 10만 원 15~20만 원 30만 원 이상
친척 (사촌 이하) 10~20만 원 30~50만 원 50~100만 원
형제자매 50~100만 원 100~300만 원 500만 원 이상
부모님 100~500만 원 500~1000만 원 1000만 원 이상

참고:

  • 일반적인 경우, 5만 원 단위로 축의금을 준비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 본인이 식사만 하고 가는 경우 최소 5~7만 원 정도가 적절합니다.
  • 동창이나 동호회 등에서 단체로 축의금을 낼 경우, 1인당 3~5만 원 정도 모아서 전달 가능합니다
  • 형제자매나 부모님과 같은 직계 가족은 별도로 더 큰 금액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별 축의금 차이

 

지역 최소금액 일반적 금액 높은 금액
서울·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5만 원 10만 원 20만 원 이상
부산·울산·경남 3~5만 원 7~10만 원 15~30만 원
대구·경북 3~5만 원 7~10만 원 20만 원 이상
광주·전남·전북 3~5만 원 7~10만 원 15~30만 원
대전·충남·충북 3~5만 원 7~10만 원 20만 원 이상
강원·제주 3~5만 원 7~10만 원 15~30만 원

지역별 특징:

  • 수도권은 생활비가 높고 예식장이 고급화되어 축의금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음.
  • 지방은 3~5만 원이 기본이며, 10만 원 이상이면 상당히 예우를 갖춘 금액으로 여겨짐.
  • 부산·경남 지역은 비교적 현실적인 금액을 내는 편이고, 경북·전라도 지역은 가족 중심 문화가 강해 가까운 사이에는 더 많은 금액을 내는 경우가 많음.

 

 

특별한 경우

 

  • 부부가 함께 참석하는 경우: 10~20만 원이 일반적
  • 예식 참석이 어렵고, 마음만 전하는 경우: 5~7만 원이 적절
  • 신랑·신부가 축의금을 받지 않고, 기부 또는 대신 선물을 받는 경우: 선물 비용 10~20만 원 선에서 조정
  • 고위직, 기업 대표 등 사회적 위치가 있는 사람의 경우: 30~100만 원 이상 지급하는 경우도 많음

 

축의금 가이드

  1. 기본 원칙: 최소 5만 원부터 시작, 가까운 사이일수록 금액 상승
  2. 지역별 차이 고려: 서울·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높고, 지방은 다소 낮음
  3. 특수한 상황 반영: 가족이나 절친일 경우 더 큰 금액, 부부 참석 시 10만 원 이상
  4. 자신의 경제 상황 고려: 무리한 지출보다는 상황에 맞게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