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별 축의금 금액
관계축의금 최소 금액축의금 일반적 금액축의금 높은 금액
관계 | 최소 금액 | 일반적 금액 | 높은 금액 |
지인, 동호회, 같은 학원 출신 등 | 3만 원 | 5만 원 | 7~10만 원 |
직장 동료 (같은 팀/부서 아님) | 5만 원 | 7~10만 원 | 10~15만 원 |
직장 동료 (같은 팀/부서) | 7~10만 원 | 10~15만 원 | 20만 원 이상 |
직장 상사·부하 직원 | 7~10만 원 | 10~20만 원 | 30만 원 이상 |
학교 친구 | 5만 원 | 7~10만 원 | 15만 원 이상 |
절친한 친구 | 10만 원 | 15~20만 원 | 30만 원 이상 |
친척 (사촌 이하) | 10~20만 원 | 30~50만 원 | 50~100만 원 |
형제자매 | 50~100만 원 | 100~300만 원 | 500만 원 이상 |
부모님 | 100~500만 원 | 500~1000만 원 | 1000만 원 이상 |
참고:
- 일반적인 경우, 5만 원 단위로 축의금을 준비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 본인이 식사만 하고 가는 경우 최소 5~7만 원 정도가 적절합니다.
- 동창이나 동호회 등에서 단체로 축의금을 낼 경우, 1인당 3~5만 원 정도 모아서 전달 가능합니다
- 형제자매나 부모님과 같은 직계 가족은 별도로 더 큰 금액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별 축의금 차이
지역 | 최소금액 | 일반적 금액 | 높은 금액 |
서울·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 5만 원 | 10만 원 | 20만 원 이상 |
부산·울산·경남 | 3~5만 원 | 7~10만 원 | 15~30만 원 |
대구·경북 | 3~5만 원 | 7~10만 원 | 20만 원 이상 |
광주·전남·전북 | 3~5만 원 | 7~10만 원 | 15~30만 원 |
대전·충남·충북 | 3~5만 원 | 7~10만 원 | 20만 원 이상 |
강원·제주 | 3~5만 원 | 7~10만 원 | 15~30만 원 |
지역별 특징:
- 수도권은 생활비가 높고 예식장이 고급화되어 축의금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음.
- 지방은 3~5만 원이 기본이며, 10만 원 이상이면 상당히 예우를 갖춘 금액으로 여겨짐.
- 부산·경남 지역은 비교적 현실적인 금액을 내는 편이고, 경북·전라도 지역은 가족 중심 문화가 강해 가까운 사이에는 더 많은 금액을 내는 경우가 많음.
특별한 경우
- 부부가 함께 참석하는 경우: 10~20만 원이 일반적
- 예식 참석이 어렵고, 마음만 전하는 경우: 5~7만 원이 적절
- 신랑·신부가 축의금을 받지 않고, 기부 또는 대신 선물을 받는 경우: 선물 비용 10~20만 원 선에서 조정
- 고위직, 기업 대표 등 사회적 위치가 있는 사람의 경우: 30~100만 원 이상 지급하는 경우도 많음
축의금 가이드
- 기본 원칙: 최소 5만 원부터 시작, 가까운 사이일수록 금액 상승
- 지역별 차이 고려: 서울·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높고, 지방은 다소 낮음
- 특수한 상황 반영: 가족이나 절친일 경우 더 큰 금액, 부부 참석 시 10만 원 이상
- 자신의 경제 상황 고려: 무리한 지출보다는 상황에 맞게 조절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장고 소리 해결방법(윙윙, 덜컹, 딱딱, 쉭쉭) (0) | 2025.03.11 |
---|---|
에어부산 취소 수수료 정리! (최대 30만원 아끼는 방법) (0) | 2025.03.11 |
롤렉스 정품, 가품(짝퉁) 구별 방법 (0) | 2025.03.07 |
장례식 복장, 절하는법, 부의금 봉투 쓰는 (0) | 2025.03.06 |
우크라이나 희토류란? 원소, 용도, 매장량 (0) | 2025.03.05 |